Politique

[인터뷰] 유제헌 유럽한인총연회장 “인천이 재외동포청 최적지”

[인터뷰] 유제헌 유럽한인총연회장 “인천이 재외동포청 최적지”

송고시간 2022-11-17 22:00

유럽 25개국 한인회 연합단체, 인천 공식 지지
 유제헌 유럽한인총연합회 회장 [촬영 신민재

한불통신-ACPP) 유제헌 유럽한인총연합회 회장은 17일 “재외동포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정부 조직인 재외동포청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인천이 최적의 설치 장소”라고 말했다.

유 회장은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근대 이민의 역사가 시작된 인천은 상징성과 역사성뿐만 아니라 국제공항을 통해 전 세계 동포들이 방문하기 가장 편리한 도시”라며 재외동포청 인천 설치를 지지하게 된 요인들을 설명했다.

다음은 유 회장과의 일문일답.

한국 정부가 신설하려는 재외동포청은 왜 필요한가.

▲ 750만 재외동포를 정부 조직이 아닌 재단(재외동포재단)에서 관장하는 것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재외동포 정책이나 사무에 숱한 혼선과 중복이 발생하고 맞춤형 서비스에도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동포들을 전담하는 재외동포청이 꼭 필요하다. 가능하다면 재외동포청과 함께 재외동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문기구도 마련되면 좋겠다. 자문기구의 구성원은 재외동포들로 채우는 게 중요하다.

— 인천을 재외동포청 설치 최적지로 평가하고 지지한 이유는.

▲ 인천은 한인 이민역사와 깊은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재외동포들이 입출국 시 편리한 접근성이다. 다른 지역은 별도의 시간을 내서 일부러 방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지만, 인천은 입국이나 출국 때 쉽게 방문을 할 수 있어 좋을 것이다. 아울러 인천에는 유럽한인문화타운이 조성될 예정이어서 재외동포청이 함께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재외동포청 유치에 매우 적극적이고 재외동포들에게 우호적인 것도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 재외동포들이 생각하는 인천 유럽한인문화타운의 기대효과는.

▲ 한인 해외 이주의 역사가 올해로 120년이 됐다. 현재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수가 750만명에 이르고, 이는 대한민국의 국내 인구 5천200만명의 약 15%에 달하는 규모다. 지금까지는 해외 이주에 대한 관심이 높았지만, 앞으로는 국내로 귀환하는 이들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두고 정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본다. 해외에 거주하던 이들이 한국으로 돌아와 터전을 마련하면 그 자손들과 관계 국가·기관·기업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돼 명소가 될 것이다. 외국에서 한국을 찾는 이들이나 해외로 나가는 이들이 최소 1∼2일 머무는 장소로 자리매김해 다양한 부가가치를 만들어낼 것이다. 아울러 해외 진출을 꿈꾸는 젊은이들과 기업들도 즐겨 찾는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천에 조성하고자 하는 유럽한인문화타운은 유럽과 한국의 문화·예술·주거·건축기술 등이 실현된 첨단 스마트시티가 될 것이다.

— 유럽 한인의 이민사가 한 세기를 넘겼다. 현재 재유럽 동포사회의 규모와 현안은.

▲ 유럽에는 약 30만명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다. 재법한국민회라는 한인단체가 만들어진 지 2019년으로 100년이 됐다. 1919년 3·1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분들이 프랑스로 건너가 한인단체를 만들어 임시정부 독립운동을 지원한 것이 유럽 한인 이주의 시작이다. 현재는 유럽 각국에 90여개의 한인회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세계 어느 곳이나 비슷한 상황이지만, 점차 고령화하는 동포들의 노후 문제와 차세대들의 한인사회 내 역할 분담, 차세대들의 한국어 교육, 동질감과 자긍심을 심어주는 일 등이 중요하다. 최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재외동포들의 안전대책도 체계적으로 마련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 재외동포 정책과 관련해 한국 정부에 바라는 점은.

▲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한 정보 전달과 대책 수립이 이뤄지도록 지역의 대표성이 있는 한인회와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재외동포청이 만들어지면 재외공관을 통해 이뤄졌던 기존 방식을 혁신해 재외동포청과 한인회가 한 네트워크로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 재외동포사회가 쌓아온 기반을 잘 활용하고 꼭 필요한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도 이뤄지기를 바란다. 글로벌 인재로 성장한 재외동포 자녀들이 국내 기관에서 일할 수 있는 길도 넓혀주면 좋겠다. 이들은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인재들로, 한국의 커다란 자산이다. 재외동포 자녀들이 한국과 외국에서 적극 활동할 수 있게 복수국적의 범위를 확대해주길 바란다. (프랑크푸르트=연합뉴스) 신민재 기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